margin
과 padding
margin
은 각 요소들 사이의 여백을,padding
은 하나의 요소에서 컨텐츠와 border 사이의 여백을 의미한다.
1. margin
margin-top
margin-right
margin-bottom
margin-left
예시 (1)
h1 {
margin-left: 15px;
}
Q. 이 때 나머지 속성값은 어떤가?
A. 해당 태그에 기본적으로 설정돼있는 margin을 유지한다.
✅ 참고로 <h1>
태그는 기본적으로 margin-top
과 magin-bottom
이 21.440px
이다.
예시 (2)
h1 {
margin-top: 15px;
}
Q. 이 때 나머지 속성값은 어떤가?
A. <h1>
태그의 margin-top
이 15px
로 설정되고, 앞서 말했듯이 기본값인 margin-bottom: 21.440px
이 유지된다.
예시 (3)
h1 {
margin: 15px;
}
Q. 각각의 margin 속성값은 어떤가?
A. margin
속성에서 1개의 값만 지정하면 4방향의 margin이 모두 15px
로 설정된다.
예시 (4)
✅ 값을 여러 개 지정할 때, 값들 사이는 공백으로 분리한다.
h1 {
margin: 10px 20px;
}
Q. 각각의 margin 속성값은 어떤가?
A. margin
속성에서 값을 여러 개 지정해줄 경우, 차례대로 top
→ right
→ bottom
→ left
순서대로 값이 지정된다.
주의할 점은 margin 값을 2개 이상 설정했을 때, 값이 설정되지 않은 margin은 평행한 쪽 margin의 값을 자동 부여받는다.
여기서 차례대로 2개의 값을 지정했으므로 다음 코드와 동일한 결과이다.
h1 {
margin-top: 10px;
margin-right: 20px;
margin-bottom: 10px;
margin-left: 20px;
}
예시 (5)
h1 {
margin: 5px 10px 15px 20px;
}
Q. 각각의 margin 속성값은 어떤가?
A. 다음 코드와 동일한 결과이다.
h1 {
margin-top: 5px;
margin-right: 10px;
margin-bottom: 15px;
margin-left: 20px;
}
2. padding
padding-top
padding-right
padding-bottom
padding-left
padding도 마찬가지로 padding
속성으로 한 번에 설정하거나, pardding-top
, padding-right
, padding-bottom
, padding-left
로 따로 설정해줄 수 있다.
'Front-end > HTML,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display 속성에 대해 (0) | 2021.01.25 |
---|---|
[HTML, CSS] 클래스를 한 요소에 여러 개 적용하기 (0) | 2021.01.25 |
[CSS] border 속성에 대해 (0) | 2021.01.18 |
[HTML] 텍스트를 강조하는 방법 (0) | 2021.01.14 |
[HTML] 한글 깨짐 현상 해결 방법 (0) | 202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