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x()
>>> li = [1, 2, 3, 4, 5] # <리스트>
>>> li.index(2)
1
>>> li.index(4)
3
>>> str = "12345" # <문자열>
>>> str.index("2")
1
>>> str.index("4")
3
- 리스트, 문자열, 튜플 자료형에서 사용
- 해당 원소가 없으면 ValueError 에러 발생
>>> li = [1, 2, 3, 4, 5]
>>> li.index(10)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pyshell#2>", line 1, in <module>
li.index(10)
ValueError: 10 is not in list
- 탐색 범위를 지정하여 찾을 수 있다.
- 마찬가지로 해당 원소가 없으면 ValueError 에러 발생
>>> a = "hello"
>>> a.index("o", 1, 5) # 1~4번 인덱스 내에서 탐색
4
>>> a.index("e", 3) # 3번 인덱스부터 탐색 <- 에러 발생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pyshell#3>", line 1, in <module>
a.index("e", 3)
ValueError: substring not found
>>> a.index("e", 1) # 1번 인덱스부터 탐색
1
find()
>>> str = "12345" # <문자열>만 가능!
>>> str.find("3")
2
>>> str.find("5")
4
- 문자열에서만 사용 가능
- 해당 원소가 없으면 -1을 return
>>> str = "12345"
>>> str.find("7")
-1
- 탐색 범위를 지정하여 찾을 수 있다.
- 마찬가지로 해당 원소가 없으면 -1을 return
>>> a = "hello"
>>> a.find("o", 1, 4) # 1~3번 인덱스 내에서 탐색
-1
>>> a.find("o", 1, 5) # 1~4번 인덱스 내에서 탐색
4
>>> a.find("o", 1) # 1번 인덱스 이후부터 탐색
4
>>> a.find("e", 3) # 3번 인덱스 이후부터 탐색
-1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리스트의 원소를 찾기 위해선
(원소) in (리스트)로 먼저 원소의 존재를 확인한다.
# if (원소) in (리스트):
# print("원소 존재")
# if (원소) not in (리스트):
# print("원소 없음")
>>> li = [1, 2, 3, 4, 5]
>>> if 3 in li:
print(li.index(3))
3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리스트(List)의 여러 메소드 (0) | 2023.11.16 |
---|---|
[python] 문자열에서 숫자 또는 영문자만 추출하기 (0) | 2023.02.01 |
[Python] 변수를 포함한 문자열 출력하기 (0) | 2021.02.03 |
[Python] 문자열 내 따옴표 표현하기 (0) | 2021.02.02 |
[Python] 거듭 제곱 / 몫만 구하기 / 반올림 (0) | 2021.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