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과 Github
Git
: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 소스 코드의 변경 내역을 효과적으로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Github
: Git을 기반으로 하는 원격 저장소로, 여러 사용자가 협업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
이번 포스팅에선 Git을 초기 설정하는 방법부터 commit(커밋)하는 방법까지 알아본다.
1. 작업할 프로젝트 폴더에 git을 실행한다.
프로젝트 폴더를 우클릭해서, Git Bash Here
을 클릭해 터미널을 연다.
2. 새로운 Git 저장소 생성하기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현재 폴더를 기준으로 Git 저장소를 생성한다.
git init
✅ 성공적으로 실행됐다면 폴더 하위에 .git
폴더가 생성된다.
3. 유저 이름과 이메일 설정하기
누가 commit 했는지에 대한 사용자 정보(이름, 이메일)를 설정한다. (최초 한 번 설정)
✅ 아무 값이나 입력해도 되긴 하지만, 협업을 위해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남기는 것이 좋다.
git config user.name "이름"
git config user.email "이메일주소"
ex) git config user.name "Naori"
ex) git config user.email "na-1999@tistory.com"
4. commit할 파일을 add 시키기
✅ 커밋을 하기 위해, 우선 아래의 명령어로 Working Directory에 있는 파일을 Staging Area에 추가해준다.
git add "파일이름"
ex) git add file1.css
5. commit하기
아래의 명령어로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들을 로컬 저장소에 저장한다.
✅ -m
옵션을 붙여주면 제목을 바로 입력해서 커밋할 수 있다.
git commit -m "기능 1 구현"
✅ 커밋 제목 외에 상세 설명을 추가적으로 쓸 경우, git commit
만 실행하여 텍스트 에디터로 진입한다.
git commit
텍스트 에디터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고,
커밋 제목과 내용 등을 입력한 뒤 Esc 키를 누르고 :wq
를 입력해 엔터를 누르면 성공적으로 커밋이 된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Remote Repository 생성 & push하기 (0) | 2023.11.18 |
---|---|
[Git] 원격 레포지토리 연결 해제하기 (0) | 2021.11.13 |
[Git] Git, Github 커밋 취소하기 (0) | 2021.08.29 |